서론
한국 전통 건축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실용성과 독창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구조를 발전시켜 왔다. 그중에서도 귀틀식 구조는 목재를 옆으로 포개어 쌓아 올리는 독특한 방식으로, 단순하지만 튼튼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통 건축 기법이다.
귀틀식 구조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고구려의 주거 건축 및 창고 건축에 널리 활용되었다. 이후 일본과 중국으로 전파되며 동아시아 건축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친환경 건축물로 재조명되며, 현대적 주택 설계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귀틀식 구조의 정의, 역사적 사례, 특징, 그리고 현대적 활용까지 살펴보며, 이 전통 건축 기법이 가진 가치와 발전 가능성을 분석해 보겠다.
1. 귀틀식 구조란 무엇인가?
1-1. 귀틀식 구조의 정의
귀틀식 구조란 목재를 수평으로 포개어 쌓아 건축물을 구성하는 가구식 구조의 한 형태이다. 나무를 맞물려 쌓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틈새에는 흙을 채워 단열 효과를 높였다.
귀틀식 구조는 조적식(벽돌을 접착제로 쌓는 방식)과 유사하지만, 목재가 서로 맞물려 결구된다는 점에서 가구식 구조로 분류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간단한 공법으로 튼튼한 건축물을 지을 수 있어, 서민 주택부터 창고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2. 귀틀식 구조의 역사적 배경
2-1. 삼국시대의 귀틀식 건축
귀틀식 구조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한국 고유의 건축 방식으로, 특히 고구려에서 많이 활용되었다.
✅ 《삼국지》 위서 변진전에서는 “변진에서는 집을 나무로 포개어 쌓아 만든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귀틀식 건축이 한반도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고구려 마선구 1호분: 발굴된 두 칸짜리 귀틀집은 고구려 시대의 대표적인 귀틀식 건축물로, 당시 주거 건축의 실용성을 보여준다.

✅ 팔청리 벽화고분: 벽화에는 사다리가 놓인 단칸 귀틀집 누각이 묘사되어 있으며, 고구려 귀틀식 건축의 세부 구조를 엿볼 수 있다.
2-2. 일본과 중국으로의 전파
귀틀식 구조는 한국에서 시작되어 일본과 중국으로 전파되었다.
✅ 일본 도다이지 쇼소인(東大寺 正倉院): 나라 시대에 지어진 이 건축물은 귀틀식 구조를 기반으로 한 대표적인 사찰 창고로, 목재를 정교하게 포개 쌓아 올린 구조가 특징이다.
✅ 중국 정간식(井干式) 구조: 귀틀식 구조는 중국에서는 “정간식”으로 불리며, 저장고와 같은 기능적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었다.
3. 귀틀식 구조의 특징과 장단점
3-1. 귀틀식 구조의 장점
✅ 간단한 건축 공법 – 나무를 수평으로 쌓기만 하면 되므로, 건축 과정이 단순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 넓은 공간 확보 가능 – 기둥 간격에 제약이 없어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 우수한 단열 효과 – 목재와 흙을 함께 사용하여 겨울철에는 보온이 되고, 여름철에는 시원한 효과를 제공한다.
3-2. 귀틀식 구조의 단점
⚠️ 목재의 내구성 문제 – 시간이 지나면 부식되거나 해충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 화재에 취약 – 나무가 주재료이므로 불에 약하다.
4. 현대적 귀틀식 주택 사례
귀틀식 구조는 전통적인 건축 방식이지만, 현대 건축 기술과 결합해 친환경 주택이나 문화 시설로 재탄생하고 있다.
4-1. 강원도 평창의 친환경 귀틀식 주택
✅ 특징: 전통 귀틀식 방식으로 벽체를 구성하되, 내부에는 단열재와 방수재를 삽입해 내구성을 높였다.
✅ 주목할 점: 목재에 방염 및 방충 처리를 적용하여 기존 귀틀식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4-2. 전라남도 구례 한옥 마을의 귀틀식 숙소
✅ 특징: 전통 귀틀식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된 숙소로, 내부는 현대적 인테리어를 적용하여 편리성을 높였다.
✅ 주목할 점: 한옥 체험과 전통 건축의 가치를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4-3. 경기도 양평의 소형 귀틀식 주택
✅ 특징: 현대적 단열 유리를 사용해 실내 에너지 효율성을 강화한 소형 단독 주택.
✅ 주목할 점: 건축비 절감 효과가 있으며, 도시 외곽 지역에서 현대 귀틀식 주택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5. 귀틀식 구조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
✔️ 친환경 건축물로서의 가치 – 지속 가능성과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 현대 기술과의 융합 – 단열재, 방수재 등을 활용해 전통 건축의 단점을 보완 가능하다.
✔️ 문화적 가치 보존 – 전통 건축의 미학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활용할 수 있다.
결론
귀틀식 구조는 단순하면서도 실용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건축 방식을 보여주는 한국 전통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과거의 유산으로만 남아 있던 귀틀식 구조가 최근 친환경 주택이나 전통 체험 시설로 재조명되면서, 현대 건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귀틀식 구조는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중요한 건축 방식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통 건축의 초석: 기둥을 지탱하는 기술과 미학 (0) | 2025.02.01 |
---|---|
한국 전통 건축의 기단 구조: 건축의 기초와 예술적 완성 (0) | 2025.02.01 |
한국 전통 건축의 기단: 건축의 기초와 미학 (0) | 2025.02.01 |
한국 전통 건축의 삶과 문화: 마을, 유교건축, 원림과 정원, 그리고 탑 (0) | 2025.01.31 |
한국 전통 건축의 다양성과 특징: 성곽부터 한옥까지 (0) | 2025.01.31 |
지정과 기초: 한국 전통 건축의 땅 다지기와 기초 기술 (0) | 2025.01.31 |
보식 구조의 탄생과 발전: 한국 전통 목조 건축의 중심 (0) | 2025.01.31 |
전통 건축,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가구식, 조적식, 일체식 구조 분석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