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에 위치한 원터마을은 조선시대 **상좌원(上佐院)**이라는 원(院)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 마을이다.
이곳은 연안 이씨가 대대로 모여 사는 씨족마을로, 조선 시대 전통 마을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며 현재까지 거주 기능을 잃지 않은 살아 있는 문화유산이다.
특히, 일부 전통마을이 거주지를 상실한 것과 달리, 원터마을은 시대에 맞춰 자연스럽게 변화하면서도 전통적인 마을 공간 배치와 공동체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목차
1. 원터마을의 공간 구성
2. 원터마을의 가치와 역사적 의미
3. 원터마을 방문 팁
4. 원터마을과 함께 가볼 만한 주변 관광지 (🔗초록빛 감성여행 김천)
5. 맺음말
6. 전통마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1. 원터마을의 공간 구성
원터마을은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관과 생활 방식에 따라 사회적 영역, 개인적 영역, 의식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 사회적 영역 (마을 입구)
• 방초정(芳草亭)과 연못을 중심으로 구성
• 주로 남성들이 활동하던 공간으로 공동체 생활의 중심 역할
✔ 개인적 영역 (사회적 영역 안쪽)
• 일반 가옥들이 배치된 거주 공간
• 종가를 포함한 가족 단위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공간
✔ 의식 영역 (마을 후면)
• 마을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
•
영모재(永慕齋), 명성재(明誠齋), 선산, 종가 사당 등이 포함
• 조상을 기리고 유교적 가치를 실천하는 공간
이러한 공간 배치는 전통적인 유교적 마을 구조를 잘 보여주며, 현재까지 그 형태가 유지되고 있다.
2. 원터마을의 가치와 역사적 의미
✔ 씨족 공동체의 유지
• 연안 이씨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거주하며 공동체적 가치를 이어오고 있음
• 일부 전통마을이 공동체 기능을 잃은 것과 대조적
✔ 역사적 유산의 보존
• 방초정과 같은 전통 건축물, 유교적 의식 공간이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음
• 조선 시대 씨족마을 연구에 중요한 사례
✔ 현대적 지속성
•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에 맞춰 생활 방식이 변화
• 단순한 문화재가 아닌 **‘살아 있는 전통 마을’**로서 가치가 높음
3. 원터마을 방문 팁
✅ 찾아가는 길
• 주소: 경북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김천 시내에서 차량으로 약 30분 거리
✅ 추천 방문 시기
• 봄, 가을: 전통마을의 고즈넉한 분위기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시기
• 여름: 방초정 연못 주변에서 시원한 풍경 감상 가능
✅ 관람 소요 시간
• 마을을 둘러보는 데 약 1~2시간 소요
✅ 유의사항
• 마을 내 일부 건물은 개인 소유이므로 출입 전 확인 필요
• 유교적 전통이 남아 있는 공간이므로 조용한 관람 권장
4. 원터마을과 함께 가볼 만한 주변 관광지 (🔗초록빛 감성여행 김천)
✅ 직지사
• 신라시대 창건된 천년고찰로, 유서 깊은 불교 문화유산이 남아 있음
• 가을 단풍철에 방문하면 더욱 아름다움
✅ 김천 부항댐 출렁다리
• 국내 최장 길이 256m의 흔들다리
• 아름다운 호수를 배경으로 걷기 좋은 명소
✅ 연화지
• 조선시대 연못으로, 연꽃이 만개하는 여름철에 방문하면 더욱 아름다움
• 야경이 멋진 포토존으로도 유명
✅ 황악산 하늘타기길
• 김천의 대표적인 트레킹 코스로, 황악산 능선을 따라 걷는 길
•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김천 시내 전경이 장관
✅ 김천 자산동 벽화마을
• 다양한 벽화가 그려진 감성적인 마을
• 산책하며 사진 찍기 좋은 명소
✅ 김천 녹색미래과학관
• 과학을 주제로 한 체험형 전시관
•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추천
5. 맺음말
김천 원터마을은 조선 시대 씨족 공동체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살아 있는 전통 마을이다.
전통적인 마을 공간 배치와 유교적 생활 방식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또한, 직지사, 부항댐 출렁다리, 연화지, 황악산 하늘타기길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주변에 있어 함께 방문하면 더욱 의미 있는 여행이 될 것이다.
전통적인 한국 마을의 정취와 조선 시대 씨족마을의 흔적을 경험하고 싶다면, 김천 원터마을 방문을 추천한다.
전통마을의 개념과 유형: 역사와 문화가 숨 쉬는 공간
전통마을은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공동체 생활과 자족 생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적 질서를 바탕으로 씨족 중심의 마을 형태가 형성되었으며, 각 마을에는 공동체 규범
plant-project.kr
'한국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화 닭실마을, 황금닭이 품은 전통 한옥 마을 (0) | 2025.03.05 |
---|---|
창경궁 물빛연화 – 서울 야경 명소, 미디어아트와 전통의 만남 (0) | 2025.03.04 |
안동 하회마을, 세계유산으로 만나는 한국의 전통 마을 (1) | 2025.03.04 |
경북 포항 덕동문화마을: 전통과 역사가 깃든 씨족마을 (1) | 2025.03.03 |
500년을 이어온 전통마을, 양동마을의 숨은 이야기 (1) | 2025.02.26 |
전통마을의 개념과 유형: 역사와 문화가 숨 쉬는 공간 (2) | 2025.02.24 |
조선 5대 궁궐 창경궁 : 역사부터 복원 과정까지! 왕실이 사랑한 숨은 보석 (0) | 2025.02.18 |
창덕궁 답사 여행 가이드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