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대구 옻골마을, 400년 역사 속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곳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 위치한 옻골마을은 대구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전통 씨족마을로, 경주 최씨 집성촌이다.

조선 후기 학자인 **최흥원(1705~1786)**을 배출한 유서 깊은 마을이며, 현재까지 14대째 후손들이 거주하며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 남쪽 개울가에 옻나무가 많아 ‘옻골’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모든 집이 남향을 바라보는 독특한 배치가 특징이다.

한옥과 담장이 직선적으로 정돈된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다른 전통 마을과는 차별화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1. 옻골마을의 특징과 역사적 가치


✔ 대구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씨족마을
• 과거 대구에는 60여 개의 씨족마을이 존재했으나,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곳은 옻골마을뿐

✔ 400년 역사의 경주 최씨 집성촌
• 1616년, **최동집(1586~1661)**이 일족을 이끌고 정착하며 형성
• 조선 후기 대표적 학자 **최흥원(백불암)**이 살았던 곳

✔ 독특한 마을 배치
• 다른 전통 마을들이 지형을 따라 집을 배치한 것과 달리, 모든 집이 남향
• 집과 길, 담장이 직선적으로 정렬되어 있어 정돈된 미관 유지

✔ 중요 문화재 다수 보유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옻골 최씨 고택’
• 조선 시대 전통 양식을 간직한 한옥 다수

대구 동구 옻골마을 돌담길 - 사친출처(대구 동구청)

 

2. 옻골마을 방문 팁


✅ 찾아가는 길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784
• 대구 도심에서 차량으로 약 20~30분 거리

✅ 추천 방문 시기
• 봄, 가을: 전통 한옥과 자연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계절
• 겨울: 한옥의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조용한 힐링 가능

✅ 관람 소요 시간
• 마을을 둘러보는 데 약 1~2시간 소요

✅ 주요 볼거리
• 옻골 최씨 고택(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 백불고택(최흥원이 거주하던 종택)
• 옻골마을 돌담길(직선형 한옥 배치를 따라 걷기 좋은 산책로)

✅ 체험 프로그램
• 전통 한옥 스테이(사전 예약 필수)
• 고택 관람 및 역사 해설 투어(일정에 따라 운영)

✅ 유의사항
• 마을 내 일부 한옥은 개인 거주지이므로 정숙 필요
• 문화재 보호를 위해 지정된 동선으로만 이동

 

3. 옻골마을과 함께 가볼 만한 주변 관광지 (🔗대구동구 문화관광)


✅ 팔공산 케이블카 & 동화사
• 대구를 대표하는 명산으로,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
• 신라시대 창건된 동화사에서 불교문화 체험 가능

✅ 대구 방짜유기박물관
• 전통 방짜유기의 역사와 제작 과정을 볼 수 있는 박물관
• 직접 유기를 만들어보는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동촌유원지
• 금호강을 따라 조성된 대구 대표 힐링 스팟
• 산책, 자전거 타기, 카페 투어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

✅ 대구 현대미술관
• 현대미술 작품 전시 및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

✅ 신숭겸 장군 유적지
• 고려 개국 공신인 신숭겸 장군을 기리는 역사 유적지
• 역사 애호가들에게 추천하는 관광 코스

 

 

 


맺음말

옻골마을은 대구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전통 씨족마을로, 4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변함없이 전통을 간직해온 특별한 공간이다.

마을 전체가 조선 시대 한옥의 배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옻골 최씨 고택, 백불고택 등 문화재급 전통 가옥들이 남아 있어 한국 전통 건축을 가까이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팔공산, 동화사, 방짜유기박물관, 동촌유원지 등 다양한 관광 명소와 가까워 함께 방문하면 더욱 알찬 여행이 될 것이다.

조선 시대 전통 마을과 한옥의 멋을 느껴보고 싶다면, 대구 옻골마을을 꼭 방문해보자!

 

 

👉🏻 전통마을의 기본개념이 궁금하다면? 바로가기!

 

전통마을의 개념과 유형: 역사와 문화가 숨 쉬는 공간

전통마을은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공동체 생활과 자족 생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적 질서를 바탕으로 씨족 중심의 마을 형태가 형성되었으며, 각 마을에는 공동체 규범

plant-project.kr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