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한국 전통 건축 기둥 2️⃣: 위치에 따른 역할과 배치


서론

한국 전통 건축에서 기둥은 단순한 구조적 요소를 넘어 공간의 역할과 형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둥의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지며, 외곽을 지탱하는 평주와 귓기둥, 내부 중심을 담당하는 고주와 심주, 누각을 떠받치는 누하주와 누상주 등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둥의 위치별 역할과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 전통 건축의 정교함과 실용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요약: 한국 전통 건축의 기둥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건축물의 안정성과 미적 조화를 이루는 핵심 요소입니다.

1. 건물의 중심과 외곽을 지탱하는 기둥

① 고주(中心柱, 중심 기둥)

✅ 위치: 건물 내부 중심부
✅ 특징: 외곽 기둥보다 길고 굵어 안정감을 강조
✅ 역할: 대들보와 결합해 지붕 하중을 분산, 건물의 구조적 중심 유지
✅ 사례: 부석사 무량수전, 봉정사 극락전

② 평주(外郭柱, 외곽 기둥)

✅ 위치: 건물 외곽(처마, 벽체 주변)
✅ 특징: 고주보다 짧고 가늘며, 퇴칸(툇마루)을 형성
✅ 역할: 여름철 통풍과 그늘 제공, 건물 외곽의 안정성 강화
✅ 사례: 조선시대 한옥, 전통 사찰 건축

③ 귓기둥(隅柱, 모서리 기둥)

✅ 위치: 건물 모서리
✅ 특징: 평주보다 굵고 높음, 귀솟음(기둥 상단을 높게 설계하는 기법) 적용
✅ 역할: 가장 많은 하중을 받으며 건물의 균형 유지, 시각적 안정감 향상
✅ 사례: 부석사 무량수전(귀솟음 기법 활용)

2. 목탑과 대형 건축물의 중심 기둥

① 심주(心柱, 건물 중심 기둥)

✅ 위치: 건물 또는 탑의 중심부
✅ 특징: 건물의 가장 중요한 구조물로, 최상층까지 연결됨
✅ 역할: 상륜부와 지붕 지탱, 상징성과 의례적 의미 부여
✅ 사례: 황룡사 9층 목탑(심주 초석에 사리공 존재)

② 사천주(四天柱, 네 모서리 기둥)

✅ 위치: 심주를 중심으로 건물 네 모서리에 배치
✅ 특징: 불교적 상징성(사천왕을 의미) 포함
✅ 역할: 목탑 및 대형 전각의 균형 유지
✅ 사례: 대형 사찰과 목탑(불국사 대웅전)

3. 누각 건물의 기둥 구조

① 누하주(樓下柱, 하층 기둥)

✅ 위치: 누각 건물의 아래층
✅ 특징: 높이가 크며, 돌기둥으로 대체되는 경우 많음
✅ 역할: 건물 전체를 떠받치며, 지붕 하중과 상층 기둥의 하중 분산
✅ 사례: 경복궁 경회루(대형 돌기둥 사용)

② 누상주(樓上柱, 상층 기둥)

✅ 위치: 누각 건물의 위층
✅ 특징: 경관을 강조하는 역할 수행
✅ 사례: 부석사 무량수전 앞 안양루, 봉정사 대응전 앞 만세루

한국 전통 건축 기둥 (누하주와 누상주)



4. 기타 보조 기둥

① 활주(活柱, 추녀 보조 기둥)

✅ 위치: 처마 아래 추녀를 받치는 역할
✅ 특징: 처마의 처짐 방지
✅ 사례: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

② 동바리(마루 지지 기둥)

✅ 위치: 마루 밑
✅ 특징: 대청마루 처짐 방지
✅ 사례: 전통 한옥 구조

③ 굴립주(지면에 직접 세운 기둥)

✅ 위치: 땅에 바로 박아 세운 초기 기둥 구조
✅ 특징: 주로 회랑 구조에서 발견됨
✅ 사례: 감은사지 회랑

5. 전통 기둥의 현대적 활용

최근 전통 건축의 기둥 구조가 현대 건축에서도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 전통 한옥 카페 & 호텔 → 고주와 평주 구조를 유지하며 전통미 강화
✔ 공원 및 정자 → 귓기둥과 귀솟음 기법을 적용해 시각적 안정감 향상
✔ 고층 목조 건축 → 심주와 사천주 개념을 적용해 현대 목조건축 안정성 강화

➡ 한국 전통 건축의 기둥은 역사적 유산을 넘어, 현대 건축에서도 구조적·미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결론

한국 전통 건축에서 기둥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균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고주와 평주 → 건물의 중심과 외곽을 지탱
✔ 심주와 사천주 → 목탑과 대형 건축물의 균형 유지
✔ 누하주와 누상주 → 누각 건축의 하중 분산과 경관 강조
✔ 활주와 보조 기둥 → 처마와 마루 지지

전통 기둥의 설계 원리는 현대 건축에도 응용되며, 지속적으로 연구·보존될 가치가 있습니다.

➡ 한국 전통 건축의 기둥 구조는 실용성과 미학이 조화를 이루며, 현대 건축에서도 중요한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