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 구성과 형식


서론

건축에서 평면(平面) 은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건물의 기능과 크기, 구조적 요인을 반영해 설계됩니다. 특히, 한국 전통 건축은 목조가구식(木造架構式)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인 칸(間)을 기본 단위로 삼아 건물의 평면을 구성합니다.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 구성은 단순히 공간 배치의 개념을 넘어, 구조적 안정성, 기능적 효율성, 미적 균형 등을 고려한 정교한 체계로 발전해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의 개념과 구성 방식, 그리고 다양한 평면 형식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 요약: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은 ‘칸’이라는 기본 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건물의 기능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1. 평면의 기본 요소: ‘칸’과 공간 구성

① 칸(間)의 개념과 역할

✅ 칸의 정의:
•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며, 한옥의 구조와 면적을 결정하는 기본 단위
• 단순한 길이 단위뿐만 아니라, 건축 공간의 크기와 배치를 결정

✅ 칸의 종류:
• 주칸(主間): 기둥과 기둥 사이의 기본 공간
• 협칸(夾間): 주칸을 기준으로 좌우에 추가된 보조 공간
• 퇴칸(退間): 건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완충 공간

✅ 칸의 크기:
• 일반 살림집: 8자(약 2.4m) 내외
• 사찰·궁궐: 1012자(약 33.6m)
• 같은 건물 내에서도 중앙 칸과 측면 칸의 크기가 다름

✅ 칸을 이용한 건물 규모 표현법:
• 정면 3칸 × 측면 2칸 → 3×2 = 6칸 집
• 정면 5칸 × 측면 3칸 → 5×3 = 15칸 집

✅ 칸의 배치 예시:
• 정간(正間, 중심 칸): 건물의 정중앙 칸으로 가장 중요함
• 어칸(御間, 궁궐에서 중심 칸을 부르는 명칭)
• 좌우 협칸(夾間): 정간을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된 칸

✅ 사례:
• 경복궁 근정전(정면 5칸 × 측면 4칸)
• 창덕궁 인정전(정면 5칸 × 측면 4칸)

2.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 구성 방식

① 한옥의 평면 구성 원칙

✅ 기둥과 보에 의해 형성되는 ‘간가도(間架圖)’ 방식
• 서양 건축의 평면도와 달리,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기둥과 보를 기준으로 평면을 표현
• 정면 칸을 가(架), 측면 칸을 간(間) 으로 표기
• 현재는 ‘정면 몇 칸, 측면 몇 칸’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

✅ 건물의 방향과 구분 방식
• 도리 방향(桁方向): 건물의 길이 방향 (정면)
• 보 방향(梁方向): 건물의 너비 방향 (측면)

✅ 내부 공간의 구획
• 고주간(高柱間, 중심 내부 공간): 건물의 주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
• 퇴칸(退間, 외부와 연결되는 공간):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완충 공간

✅ 사례:
• 한옥의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음
• 경복궁 근정전은 정면 5칸, 측면 4칸 구조

3.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 형식과 다양한 유형

① 평면의 기본 형식

✅ 장방형(長方形) 평면
•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길이가 너비보다 긴 구조
• 초기 건축물은 정방형에 가까웠으나, 시대가 지나면서 장방형으로 변화
• 사례: 조선 시대 사찰과 궁궐

✅ 정방형(正方形) 평면
• 정사각형에 가까운 구조로, 주로 정자나 목탑에서 사용
• 사례:
• 법주사 팔상전(목탑)
• 창덕궁 애련정(정자)

✅ 다각형(多角形) 평면
• 육각형, 팔각형 등의 형태로 설계된 건축물
• 사례:
• 창덕궁 존덕정(육각형)
• 경복궁 향원정(육각형)
• 원구단 황궁우(팔각형)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 (경복궁 향원정)



✅ 특수한 평면 형태
• 십자형(十字形) 평면: 창덕궁 부용정, 원각사
• 부채형(扇形) 평면: 창덕궁 관람정
• ‘ㄱ’ 자형, ‘ㅁ’ 자형 평면: 한옥의 대표적인 구조

4. 전통 건축 평면 형식의 현대적 활용

전통 한옥의 평면 구성 원리는 현대 건축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되고 있습니다.

✔ 한옥 스타일의 주택 및 호텔 → 장방형 평면을 유지하면서 현대적 감각 접목
✔ 공공시설 및 문화공간 → 정방형 및 다각형 구조를 활용한 전통미 강조
✔ 친환경 건축 → 퇴칸 구조를 활용한 자연 친화적 설계 적용

➡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 구성 방식은 단순한 역사적 유산이 아니라, 현대 건축에서도 실용적이고 예술적인 요소로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결론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은 ‘칸’이라는 기본 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건물의 기능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 칸 구조 →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 단위로 건물의 크기와 구성을 결정
✔ 정면성과 공간 배치 → 정간, 어칸, 협칸 등을 통해 건물의 구조적 질서 형성
✔ 다양한 평면 형식 → 장방형, 정방형, 다각형 등 용도에 따라 변화

이러한 전통 건축의 평면 구성 원리는 현대 건축에서도 지속적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공간 활용과 기능적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한국 전통 건축의 평면은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는 뛰어난 설계 방식입니다.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