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조선 5대 궁궐 창경궁 : 역사부터 복원 과정까지! 왕실이 사랑한 숨은 보석


**창경궁(昌慶宮)**은 조선 성종 14년(1483년), 성종이 왕실의 어른인 정희왕후(세조의 비), 소혜왕후(덕종의 비), 인순왕후(예종의 비)를 위해 지은 궁궐이다.

창덕궁의 부속 궁궐로 활용되었으며, 두 궁궐을 합쳐 **‘동궐(東闕)’**이라 불렸다.

이 글에서는 창경궁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건축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방문객이 창경궁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창경궁의 역사


창경궁이 지어진 터는 본래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거처한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자리였다.

 

성종은 대비궁(大妃宮)의 역할을 할 새로운 궁궐을 조성하면서 경복궁과 창덕궁과는 달리 동향으로 배치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왜군의 방화로 소실되었으며, 광해군이 다시 중건하였다.

이후 1830년대 대규모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고, 19세기 후반에 복구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창경궁이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되며 일본식 정원이 조성되고 동물원이 들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복원 사업이 진행되어 오늘날 명정전과 문정전 일곽 등이 복구되었다.

창경궁 전경
조선의 5대 궁궐 (창경궁)



 

창경궁의 주요 건축물


1. 명정전(明政殿) – 창경궁의 정전
• 건립 연도: 1484년(성종 15년) 창건, 1616년(광해군 8년)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
• 특징:
• 내부 바닥에 전돌을 깔고 중앙 뒤쪽에 왕의 보좌를 배치
• 바깥 기둥(평주) 16개, 내부 앞쪽 기둥(고주) 4개로 구성
• 뒤쪽에 따로 **툇간(퇴칸, 건물의 바깥쪽에 덧붙여 만든 공간)**을 설치

2. 홍화문(弘化門) – 창경궁의 정문
• 건립 연도: 광해군 대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우진각지붕
• 특징:
• 상하층 모두 출목공포(지붕을 받치는 구조)가 적용
• 왼쪽 모서리 계단을 통해 위층 누각에 올라 사방을 관망 가능

3. 숭문당(崇文堂) – 왕이 학문을 연마하던 공간
• 건립 연도: 경종 대 창건, 1830년(순조 30년)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4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
• 특징:
• 내부에 마루를 깔고, 중앙칸과 동선을 연결해 효율적인 공간 구성
• 왕이 학문을 연마하고 신하들과 토론하던 공간

4. 함인정(涵仁亭) – 왕의 쉼터
• 건립 연도: 1633년(인조 11년)
• 건물 구조: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익공 단층 팔작지붕
• 특징:
• 원래 ‘인양전’이 있던 자리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
• 인경궁을 허문 목재로 재건

5. 환경전(環翠殿) – 왕과 왕비의 생활공간
• 건립 연도: 1481년 창건, 1834년(순조 34년)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7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지붕
• 특징:
• 창경궁 내전 중 유일한 왕의 거처
• 왕후들의 빈전(왕비의 임시 거처)으로도 활용

6. 경춘전(慶春殿) – 왕후의 침전
• 건립 연도: 1483년(성종 14년), 1834년(순조 34년)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7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지붕
• 특징:
• 성종의 생모 인수대비 한씨와 숙종비 인현왕후 민씨, 정조의 생모 혜경궁 홍씨가 거처
• 정조와 헌종이 태어난 곳

7. 통명전(通明殿) – 왕의 주요 행사 공간
• 건립 연도: 1484년 창건, 1834년(순조 34년)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7칸, 측면 4칸의 이익공 팔작지붕
• 특징:
• 내전 중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
• 앞쪽에 화강암 월대(기단)를 조성해 연회 및 의례 진행

8. 양화당(養和堂) – 왕비의 거처
• 건립 연도: 1834년(순조 34년) 재건
• 건물 구조: 정면 6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지붕
• 특징:
• 개방형 구조로, 창 없이 전면을 개방
• 내부는 우물마루로 개조됨

9. 영춘헌(迎春軒) & 집복헌(集福軒) – 궁궐 내전 건물
• 건립 연도: 1834년(순조 34년) 재건
• 건물 구조: ‘ㅁ’자형 평면 구조
• 특징:
• 영춘헌은 본채 5칸, 집복헌은 영춘헌과 연결된 서행각
• 궁궐 내 생활공간


 

창경궁 방문 가이드


✔ 운영 시간:  일반 관람 - 09:00~21:00 (입장 마감 20:00)
✔ 입장료: 성인 1,000원  (한복 착용시 무료)
(내국인 - 만 25세 ~ 만 64세, 외국인 - 만 19세 ~ 만 64세)
✔ 휴궁일: 매주 월요일
✔ 주요 관람 포인트:
• 명정전, 홍화문, 통명전 등 주요 건축물
• 봄철 벚꽃 명소로 유명
• 궁궐 관람 안내

바로가기




창경궁은 단순한 궁궐이 아니라, 조선 왕실의 역사와 삶이 깃든 공간이다.

화려함보다는 실용성을 갖춘 건축양식과 왕실 가족을 배려한 공간 구성에서 조선 궁궐의 또 다른 매력을 발견할 수 있다.

서울에서 조선의 숨결을 느끼고 싶다면, 창경궁 산책을 추천한다.

 

 

👉🏻 산책하기 좋은 궁, 창덕궁이 궁금하다면?

 

창덕궁 답사 여행 가이드

창덕궁은 조선 시대에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세워졌지만, 실제로는 경복궁보다 더 오래 왕들이 거처하며 정치를 펼친 궁궐이다.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려 조성된 후원(비원)과 함께, 한국 궁

plant-project.kr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