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건축 요소 (3) – 누정(樓亭)의 기능과 유형
서론누정(樓亭)은 한국 전통 건축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풍류를 즐기고 사색하며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누정은 높은 곳에서 경관을 감상하는 **누각(樓閣, 누)**과, 비교적 작은 규모로 자연 속에서 쉼을 위한 **정자(亭子, 정)**로 나뉜다.누정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유교, 도교, 불교적 사상을 반영하며, 정치·군사·문화적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조선시대에는 관아, 궁궐, 향촌, 농촌, 사찰 등 다양한 장소에 누정이 조성되었으며, 그 용도와 배치 방식도 공간의 성격에 따라 달라졌다.이번 글에서는 누정의 개념과 유래, 기능, 유형, 그리고 건축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 전통 누정 건축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1. 누정(樓亭)의 개념과 유래1) 용어의 의미이처럼 누정은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