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에 어떤 꽃을 심을지 고민하고 계신가요?
싱그러운 초여름, 정원에 한 송이 우리꽃이 피어나면 공간 전체가 특별한 분위기로 물듭니다.
우리꽃은 한국적인 멋과 함께 키우기 쉬워, 전통 정원은 물론 현대적인 공간에도 잘 어울립니다.
전통의 아름다움과 자연의 생명력이 어우러지는 우리꽃으로, 나만의 정원을 더욱 빛내보세요.
1. 🌸 패랭이꽃
고운 색감과 단아한 모양새로 사랑받는 패랭이꽃은 5월부터 7월까지 개화하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전통 자수와 그림 속에서 자주 등장하며, 조선시대 선비들의 사랑방 주변에도 심겨 있었던 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돌담 주변이나 화단 가장자리에 잘 어울리며, 키우기 쉽고 생명력이 강한 점도 장점입니다.
📌 관리팁
• 햇빛을 좋아하므로 빛이 잘 드는 곳에 심으세요. 반그늘보다는 양지에서 더 잘 자랍니다.
• 물 빠짐이 좋은 흙을 사용하고, 과습을 피하세요. 흙이 마르면 물을 주되, 화분이라면 배수에 특히 신경 쓰세요.
• 꽃이 진 후 시든 꽃을 바로 제거하면 다음 개화에 도움이 됩니다
2. 🌿 범부채
범부채는 길고 가느다란 잎과 주황빛의 작은 꽃이 조화를 이루는 전통 식물입니다.
6월부터 8월까지 개화하며, 예부터 선비의 정원이나 사대부가의 마당에 자주 식재되었습니다.
그늘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반음지 정원에도 잘 어울립니다. 단정하면서도 동양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정원 조경의 포인트로 추천할 만합니다.
📌 관리팁
• 파종 후 토양을 촉촉하게 유지하되, 뿌리가 썩지 않도록 과습을 피하세요. 물은 너무 많이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제초와 흙을 부드럽게 해주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3. 🌼 금낭화
금낭화는 ‘하트 모양’의 독특한 꽃 형태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이름처럼 귀한 자태를 지닌 식물입니다.
5월에서 6월까지 꽃을 피우며, 은은한 색감과 부드러운 곡선이 매력적입니다.
전통 도자기나 자수 문양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식물로, 전통미와 서정적인 정서를 동시에 전달합니다.
그늘진 화단이나 나무 아래 심기에 적합합니다.
📌 관리팁
• 적당한 습도를 좋아하므로, 토양이 마르지 않게 주기적으로 물을 주세요. 다만 과습은 뿌리 부패의 원인이 되니 배수에 신경 써야 합니다.
• 봄철 성장기에는 유기질 비료나 퇴비를 적정량 주면 꽃이 더 화려하게 피어납니다.
• 식물 간 간격을 유지하고 가지치기를 해 공기 순환을 좋게 하면 병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해충(특히 진딧물)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4. 🌸 구절초
구절초는 흔히 가을꽃으로 알려져 있지만, 초여름에 심어 가을 개화를 기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우리꽃입니다.
은은한 향과 얇고 길게 뻗은 잎의 선이 아름다우며, 자연스러운 정원 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좋습니다.
초여름 정원 조성 시 식재해 두면 가을까지의 정원 구성을 이어갈 수 있어 장기적인 조경 디자인에 유용합니다.
📌 관리팁
• 햇빛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합니다. 실외라면 양지, 실내라면 밝은 창가가 적합합니다.
• 7일 간격으로 흙 표면이 마른지 확인하고 물을 주세요. 겨울에는 물 주는 빈도를 줄입니다.
• 적정 습도(40~70%)를 유지하면 좋으며, 분무기를 활용해 습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온도는 15~21℃가 적당합니다.
5. 🌿 노루귀
노루귀는 이른 봄꽃이지만, 초여름 이후를 대비해 미리 식재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작고 단아한 꽃이 특징이며, 전통 도자기와 민화 등에서 자주 묘사되어온 상징적인 우리꽃입니다.
정원의 한 켠, 작고 조용한 공간에 심으면 섬세한 미감을 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정원’을 구성할 때 빛을 발하는 식물입니다.
📌 관리팁
• 여름철 강한 햇볕은 피하고, 70~80% 정도 차광된 반그늘이나 아침 햇살만 드는 곳이 좋습니다.
• 표면 흙이 마르면 충분히 물을 주되, 과습을 피하고 배수가 잘 되는 흙을 사용하세요.
• 2~3년에 한 번 분갈이 또는 분주를 해주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분주는 가을이 적당합니다.
• 물을 줄 때는 약한 수압의 노즐을 사용해 흙이 쓸리지 않게 조심하세요.
우리꽃과 함께하는 전통 정원
우리 정원은 단순히 아름다움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문화와 철학을 담아내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초여름은 새로운 식물을 들이기에 더없이 좋은 시기입니다.
이번 시즌에는 전통의 미를 담은 우리꽃으로, 정원에 한국적인 분위기와 깊은 여운을 더해보시길 권합니다.
👉🏻 한국의 아름다운 정원문화를 알고 싶다면?
전통 정원에 많이 심었던 식물 – 한국의 아름다운 정원 문화
한국의 전통 정원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사계절의 변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특히 조선 시대의 궁궐 정원, 사대부가의 별서 정원, 사찰 정원 등에서는 우리 고유의 미감을 반
plant-project.kr
🪴여러분의 정원에 어떤 우리꽃을 싶고 싶으신가요?
'전통을 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이 지키는 세계유산 -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ODA 복원 현장 견학 안내 (0) | 2025.05.14 |
---|---|
궁중 음식과 전통 예술의 만남, ‘수라간 시식공감’ 체험 정보 총정리 (0) | 2025.05.08 |
2025 어린이날 특별행사, 경복궁에서 만나는 특별한 수문장 교대의식! (이벤트 총정리) (1) | 2025.04.23 |
2025 종묘대제, 새롭게 단장한 정전에서 품격 있는 제례를 만나다 (정전 제향 재개, 관람 예약 방법 총정리) (0) | 2025.04.18 |
2025 종묘 묘현례 재현 행사 – 조선 왕실의 깊은 전통을 직접 마주하다 (0) | 2025.04.15 |
2025년 경복궁 수문장 순라의식 – 서울 도심에서 만나는 전통 퍼레이드 (0) | 2025.04.10 |
[2025 봄 궁중문화축전] 고궁에서 즐기는 시간여행 – 예약 필수 프로그램 총정리 (1) | 2025.04.09 |
[경복궁 고궁음악회] 2025 여민동락|100인의 연주로 만나는 봄밤의 전통음악회 (예매 정보 포함)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