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한국 전통 건축 가구 2️⃣: 구성 요소와 역할

서론

한국 전통 건축에서 가구(架構)는 단순히 건물을 지탱하는 구조물일 뿐만 아니라, 건축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중요한 요소입니다. 가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는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미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둥, 보, 도리, 장혀, 창방, 대공 등은 각자의 기능과 위치에 따라 독특한 형태와 결합 방식을 가지며, 이러한 구조적 조화는 한국 전통 건축의 견고함과 우아한 조형미를 만들어 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전통 건축의 가구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이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건축의 기능성과 미학을 완성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요약: 한국 전통 건축의 가구는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예술적 가치를 지니며, 각 부재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전통 건축의 독창성을 보여줍니다.

1. 보와 보아지: 건물의 수평적 중심

① 보(樑):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핵심 구조

✅ 개념
• 기둥 위에 걸려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 부재
• 건물의 지붕과 서까래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

✅ 종류 및 역할
• 대들보(大樑) → 건물의 주요 하중을 지탱하는 가장 기본적인 보
• 중보(中樑) → 대들보 위에 놓여 보강 역할 수행
• 종보(棕樑) → 보의 최상단에서 지붕을 지지
• 툇보(退樑) → 퇴칸(처마 공간)에 걸려 툇마루를 지탱
• 충량(衝樑) → 측면 기둥과 연결되어 측면 서까래를 지지
• 귓보(隅樑) → 건물 모서리에 45도로 배치되어 외부 하중을 지지

✅ 보아지(보받침)
• 보와 기둥을 연결하거나 보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받침목
• 소규모 건축에서는 단순한 형태, 궁궐이나 사찰에서는 화려한 조각 추가

✅ 사용 사례
• 경복궁 근정전 → 대형 대들보와 귓보를 활용한 웅장한 구조
• 불국사 대웅전 → 정교한 보아지 장식이 적용된 사례

2. 도리와 장혀: 서까래를 지탱하는 구조

① 도리(桁): 지붕 하중을 직접 받는 구조물

✅ 개념
• 지붕의 무게를 하부 구조로 전달하는 수평 부재

✅ 종류 및 역할
• 종도리(棕桁) → 지붕의 중앙 용마루 부분에 위치하여 건물의 중심을 지탱
• 중도리(中桁) → 종도리 아래에 위치하며 하중을 분산
• 처마도리(簷桁) → 건물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여 처마를 지탱
• 출목도리(出目桁) → 기둥 외곽으로 뻗어나간 출목을 받침

✅ 사용 사례
• 부석사 무량수전 → 강한 내구성을 위한 다층 도리 구조
• 해인사 장경판전 → 처마도리를 활용해 우수한 통풍 구조 형성

② 장혀(長檐): 도리를 지지하는 보조 부재

✅ 개념
• 도리 아래에 위치하며, 도리를 지지하고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
• 폭이 좁고 가늘며, 첨차를 통해 하중을 전달

✅ 시대별 변화
• 고려 시대: 단장혀(짧은 장혀) 사용
• 조선 시대: 긴 통장혀 사용하여 하중 분산 효과 강화

✅ 사용 사례
• 법주사 팔상전 → 긴 통장혀 사용으로 건물의 안정성 확보

3. 창방과 평방: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수평 부재

① 창방(昌枋): 기둥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구조

✅ 개념
• 기둥머리를 가로로 연결하여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

✅ 특징
• 십자 형태로 결구되어 강한 결속력 제공
• 창방 끝부분(창방뺄목)은 조각 장식을 통해 미적 효과 극대화

✅ 종류
• 뜬창방 → 동자주와 대공 사이에 위치
• 멍에창방 → 중층 건물의 기둥 중간에 위치

✅ 사용 사례
• 경복궁 자경전 → 정교한 창방 조각이 적용된 궁궐 건축

② 평방(平枋): 창방 위에서 하중을 분산하는 부재

✅ 개념
• 창방 위에 놓여 하중을 추가로 분산
• 다포형식 건물에서 주로 사용됨

✅ 특징
• 창방보다 폭이 넓고, 높이는 낮음
• 모서리에서는 평방뺄목이 튀어나와 장식적 효과 제공

✅ 사용 사례
• 창덕궁 인정전 → 평방 구조가 돋보이는 건축물

4. 기타 구성 요소: 대공, 화반, 우미량

① 대공(臺工): 지붕을 떠받치는 보조 기둥

✅ 개념
• 종보 위에서 종도리를 지지하는 구조

✅ 유형
• 동자대공 → 짧은 기둥 형태
• 파련대공 → 연꽃무늬 조각이 들어간 장식형 대공

✅ 사용 사례
• 불국사 다보탑 → 파련대공이 적용된 대표적인 사례

② 화반(花盤): 장식적 요소와 구조적 역할을 겸한 부재

✅ 개념
• 장혀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장식성을 강조

✅ 유형
• 파련형화반 → 절구통 모양
• 복화반 → 불꽃 모양 장식

✅ 사용 사례
• 경복궁 경회루 → 화려한 화반 장식 적용

③ 우미량(牛尾樑): 도리 간 단차를 연결하는 부재

✅ 개념
• 고려 시대 주삼포 건축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구조

✅ 사용 사례
• 부석사 무량수전 → 우미량 구조가 적용된 대표적인 건축물

한국 전통 건축 (가구의 연결 구조)



결론: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 가구의 조화

✔ 가구의 각 부재는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며, 동시에 예술적 요소를 포함
✔ 보, 도리, 장혀, 대공 등의 결합 방식은 한국 전통 건축의 독창성을 보여줌
✔ 화반과 파련대공 등은 미적 완성도를 높이는 장식 요소로 활용

➡ 한국 전통 건축의 가구는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기능과 미학을 결합한 예술적 건축 기술의 집약체입니다.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