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한국 전통 건축에서 기와(瓦)는 단순한 지붕재료를 넘어,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기와의 형태와 문양은 건축물의 위계와 상징성을 반영하며, 각 시대와 지역별로 독창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전통 기와의 주요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고, 건축물에서 기와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요약: 한국 전통 기와는 건물의 격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구조적 기능과 미학적 요소를 동시에 갖춘 독창적인 건축 자재입니다.
1. 평와 (平瓦): 지붕의 기초를 이루는 기본 기와
① 암키와
✅ 특징
• 지붕의 바닥면에 먼저 깔리는 기와
• 비가 새지 않도록 지붕면을 덮는 역할
✅ 크기 분류
• 건물 규모에 따라 대·중·소로 제작
• 오늘날 생산되는 기와도 전통 규격을 따름
② 수키와
✅ 특징
• 암키와 위에 덮이는 반원형 기와
• 지붕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곡선미를 강조
✅ 종류
• 미구기와(尾溝瓦) → 뒤쪽에 배수 홈이 파여 있어 기와끼리 연결 용이
• 토수기와(土水瓦) → 앞쪽이 넓고 뒤쪽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
• 고려 이전에 주로 사용
• 일본에서는 “교키기와(筒瓦)”로 불림
2. 막새기와 (瓦當瓦): 처마 끝을 장식하는 기와
✅ 역할
• 지붕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처마 끝을 보호
• 궁궐, 사찰, 양반 가옥에서 건물의 품격을 강조하는 요소
① 암막새
✅ 특징
• 처마 끝에 부착되는 반원형 기와
• 처마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의 흐름을 조절
✅ 문양의 변화
• 삼국시대 → 길쭉한 형태, 지역별 차이 있음 (고구려, 백제, 신라)
• 조선시대 → 끝을 뾰족하게 처리해 배수 기능 강화
② 수막새
✅ 특징
• 지붕 끝을 장식하는 화려한 기와
• 연화문(蓮花紋), 당초문(唐草紋), 금수문(禽獸紋) 등 다양한 문양
✅ 역사적 의의
• 문양을 통해 제작 시기와 지역을 추정 가능
• 사찰, 궁궐, 고급 한옥에서 많이 사용
3. 장식 기와: 건축물의 상징성과 미적 요소 강조
✅ 주요 장식 기와
① 치미(鴟尾)
• 용마루 양 끝에 장착된 새 꼬리 모양 기와
• 고려 후기 이후 용머리 모양의 ‘취두(鷲頭)’로 발전
② 용두(龍頭)
• 내림마루 끝에 올리는 용머리 모양 장식 기와
• 왕실과 사찰에서 건물의 위엄을 강조
③ 잡상(雜像)
• 궁궐의 추녀마루에 배치된 작은 동물 조각
• 벽사의 의미를 갖고 화재를 막는 역할 수행
④ 기타 장식 기와
• 망와(望瓦) → 내림마루 끝에 사용되는 기와, 암막새와 유사하나 더 웅장한 느낌
• 토수(土水) → 추녀 끝에 장착되어 빗물의 흐름을 조절, 이무기 모양 조각이 많음
4. 특수기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독특한 기와
✅ 주요 특수기와
① 곡와(曲瓦)
• 용마루가 없는 지붕에 사용
• 암키와와 수키와가 각각 곡개여와, 곡개부와로 구분
② 왕찌기와(王雉瓦)
• 맞배지붕, 합각지붕의 모서리에 사용
• 앞쪽이 넓고 뒤쪽이 뾰족한 형태
③ 절병통(節甁桶)
• 모임지붕의 꼭짓점에 설치되는 항아리 형태의 기와
• 대표 사례: 방화수류정의 지붕 장식
④ 연가(烟家): 굴뚝용 기와
✅ 역할
• 굴뚝 위에 설치되어 빗물 차단 및 배기 원활화
✅ 사용 사례
• 경복궁 자경전 뒤쪽 십장생굴뚝의 연가

5. 잡상(雜像): 궁궐 지붕을 장식하는 조형물
✅ 역할
• 길상(吉祥) 기원 및 벽사(辟邪) 기능
• 주로 왕실 건축물의 추녀마루에 배치
✅ 종류와 상징성
• 손행자(孫行者) → 서유기의 손오공
• 준견(準犍) → 신화 속 신비로운 동물
• 구(狗), 마룡(馬龍) → 잡상의 배치 순서에 따라 상징적 의미 변화
✅ 사용 사례
•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의 잡상 배치 연구
결론: 전통 건축 속 기와의 가치
✔ 기와는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표현
✔ 건물의 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문양이 적용됨
✔ 궁궐과 사찰에서는 장식 기와와 잡상을 활용하여 상징성을 강조
➡ 한국 전통 기와는 단순한 건축 재료가 아닌, 역사와 문화, 기술이 담긴 예술적 작품입니다.
'한국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통 건축의 마루: 종류와 특징 (0) | 2025.02.02 |
---|---|
[한국 전통 건축의 미학 2️⃣] 창호: 구조와 아름다움 (1) | 2025.02.02 |
[한국 전통 건축의 미학 1️⃣] 문: 구조와 상징 (0) | 2025.02.02 |
한국 전통 건축에서의 벽과 인방: 구조와 미학의 결합 (0) | 2025.02.02 |
한국 전통 건축의 지붕: 기능과 미학의 완벽한 조화 (0) | 2025.02.01 |
한국 전통 건축의 지붕가구: 구조와 미학의 조화 (0) | 2025.02.01 |
한국 전통 건축 가구 2️⃣: 구성 요소와 역할 (0) | 2025.02.01 |
한국 전통 건축 가구 1️⃣: 구조와 유형의 이해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