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한국 전통 건축의 마루: 종류와 특징


서론

마루(麻樓)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 생활공간의 중심이자 건축적 특징을 보여주는 핵심 요소입니다.
한옥에서는 마루와 온돌이 공존하는 독특한 구조를 통해,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을 통하게 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난방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특히, 한국의 기후와 생활 방식에 맞춰 마루는 여러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이는 한옥의 자연 친화적인 설계 철학과 실용성을 잘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루의 기원과 구조적 특징, 다양한 종류와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 요약: 한국 전통 건축에서 마루는 환경에 적응하면서도 실용성과 미학을 동시에 갖춘 중요한 요소입니다.

1. 마루의 기원과 특징

✅ 마루의 기원
• 원시 주거 형태(소거)에서 시작 → 이후 중세에 우물마루로 발전
• 고대 누각과 탑 같은 중층 건축에서는 장마루가 사용되었을 가능성 큼

✅ 마루의 주요 특징
• 습기 조절 및 공기 순환 기능 강화
• 기둥과 기둥 사이에 마루청판을 깔아 유지 보수가 용이
• 건조 수축과 팽창을 고려한 구조로 사계절에 적합

✅ 마루의 재료
• 주로 소나무 판재(송판) 사용 → 내구성이 강하고 습기 조절에 유리
• 중국·동남아시아에서는 대나무 마루가 발달

2. 마루의 종류와 구조적 특징

① 우물마루(井麻樓): 한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

✅ 구조
• 기둥과 기둥 사이에 장귀틀(긴 가로재)과 동귀틀(짧은 가로재)을 엮어 마루청판을 끼워 제작

✅ 특징
• 나무 수축과 팽창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 마루청판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

✅ 장점
✔ 수리가 간편 → 장기적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 공기 순환에 유리 → 습기 조절 효과 탁월

✅ 단점
✖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귀틀이 손상되어 마루가 처질 수 있음

② 장마루(長麻樓): 긴 마루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구조

✅ 특징
• 고대 누각과 탑에서 사용 → 근대 양풍 건축에서도 등장
• 우물마루보다 시공이 간단하지만, 한국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음

✅ 장점
✔ 시공이 간단하여 대형 공간 시공에 유리

✅ 단점
✖ 건조 수축에 취약하여 변형이 쉬움
✖ 부분 보수보다는 전체 교체가 필요

3. 마루의 쓰임과 위치에 따른 구분

① 대청(大廳): 한옥의 중심 공간

✅ 구조
•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위치
• 거실 역할을 하며, 주로 우물마루로 제작

✅ 특징
✔ 여름철 시원한 바람을 끌어들이는 구조
✔ 양반가일수록 더 넓게 설계됨
✔ 제사, 가족 모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② 툇마루(退麻樓): 건물 외부에 설치된 마루

✅ 구조
• 건물의 퇴칸(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간)에 위치

✅ 특징
✔ 신발을 벗거나 옷을 정리하는 완충 공간 역할
✔ 외부 노출이 많아 내구성이 중요
✔ 일부 지역에서는 아궁이를 설치해 고상마루(높이 띄운 마루)로 변형

③ 쪽마루(側麻樓): 측면에 추가된 좁은 마루

✅ 구조
• 건물 측면이나 뒷면 창호와 연결된 공간
• 장마루 형식으로 제작되며, 동바리기둥(지지대)이 사용됨

✅ 특징
✔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 가능
✔ 지붕이 없는 경우가 많아 개방감이 뛰어남

④ 누마루(樓麻樓): 높이 띄운 마루

✅ 구조
• 지면에서 띄워 공기 순환과 환기를 극대화한 구조
• 정자, 누각, 대청 앞에 주로 설치

✅ 특징
✔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
✔ 여름철 시원한 공간으로 활용
✔ 원두막 형태로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

한국 전통 건축 (누마루)



⑤ 들마루(移動麻樓): 이동이 가능한 마루

✅ 구조
• 겨울에는 실내로, 여름에는 실외로 옮길 수 있는 형태
• 강원도 까치구멍집에서 주로 사용

✅ 특징
✔ 환경 변화에 따라 공간 활용 극대화
✔ 유동적인 구조로 실용성 높음

4. 마루의 문화적·환경적 중요성

✔ 여름철과 겨울철의 기후 차이를 완충하는 역할 수행
✔ 한옥에서 온돌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효율적인 난방과 냉방 기능 제공
✔ 공기 순환 구조를 통해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 형성

결론: 한국 전통 건축에서 마루의 가치

한국 전통 건축에서 마루는 단순한 바닥 구조가 아니라, 생활 방식과 환경 적응력을 반영한 중요한 공간입니다.
우물마루와 장마루의 구조적 차이, 대청·툇마루·누마루 등의 다양한 형태는 한옥의 창의성과 실용성을 잘 보여주는 요소입니다.

이러한 마루의 과학적 설계와 문화적 의미는 현대 건축에서도 많은 영감을 줄 수 있으며,
전통 건축의 장점을 살려 현대 공간에서도 활용할 가치가 충분합니다.

➡ 다음 포스팅에서는 툇마루와 누마루를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건축적 가치를 탐구해보겠습니다.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