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한국 전통 건축의 미학 2️⃣] 창호: 구조와 아름다움


서론

창호(窓戶)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 단순한 창과 문을 넘어, 채광과 환기를 조절하며,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창호의 형태와 개폐 방식, 디자인은 건축물의 성격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 왔으며,
단순한 기능적 역할을 넘어 전통 건축의 미학과 조형미를 결정하는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창호의 정의와 종류, 구조적 특징, 그리고 창호가 전통 건축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 요약: 한국 전통 창호는 기능성과 미적 조화를 동시에 갖춘 독창적인 건축 요소로, 자연과 공간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창호의 정의와 역할

✅ 창호란?
• 창(窓) → 채광과 환기를 위한 개구부
• 호(戶) → 출입을 위한 외여닫이 문

✅ 창호의 역할
• 빛과 바람을 조절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
• 공간을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기능 수행
• 문양과 장식으로 건축미를 강조하며, 집의 품격을 결정

✅ 과거와 현재의 창호 개념
• 과거에는 문과 창을 통칭하여 창호라 불렀으나,
현대에는 창과 문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2. 창호의 종류

✅ 건축물의 용도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

① 짝수에 따른 구분

✅ 독창(單窓) → 한 짝으로 구성된 창호
✅ 쌍창(雙窓) → 두 짝으로 된 창호
✅ 영상창(影像窓) → 쌍창 중 가운데 문설주가 있는 형태

② 위치에 따른 구분

✅ 분합문(分閤門)
• 외벽이나 대청과 방 사이에 설치된 창호
• 두 짝 이상의 여닫이문 포함

✅ 연합창(聯合窓)
• 빛을 조절할 수 있는 창
• 연창(광창)이 포함된 구조

③ 구조적 특성에 따른 구분

✅ 삼중문(三重門) → 조선 후기 고급 가옥에서 사용된 세 겹의 창
✅ 쌍창(雙窓) → 외부 덧문을 포함하는 두 짝 여닫이 창
✅ 영창(影窓) → 내부 미닫이창, 간결한 디자인(용자살 포함)
✅ 흑창(黑窓) → 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두꺼운 종이 창
✅ 사창(紗窓) → 여름철 방충용으로 비단을 바른 창
✅ 갑창(甲窓, 두껍닫이) → 내부 가벽 형태, 창호 보호 및 실내 장식 기능

3. 창호의 주요 구성 요소

✅ 창호의 구조는 섬세한 가구식 기법으로 설계되어 미적 완성도를 높임

① 머름(門楣): 창 아래 설치되는 가로재

✅ 구조적 구성
• 머름하방(下枋) → 아래쪽 가로재
• 머름상방(上枋) → 문지방 역할
• 머름동자(門楣童子) → 상하방 사이에 세운 짧은 기둥
• 머름청판(門楣靑板) → 머름동자 사이를 막는 얇은 판재

✅ 특징
• 사생활 보호와 공간 안정감 제공
• 가구식 구조로 정밀하게 짜여 건물의 내구성 강화

② 살창(纱窓): 얇은 살대로 구성된 창

✅ 종류
• 세살창(細纱窓) → 세로살과 일부 가로살 결합
• 만살창(满纱窓) → 세로·가로살을 가득 채운 창
• 아자살창(亞字纱窓), 완자살창(卍字纱窓) → 장식적 요소 추가
• 꽃살창(花纱窓) → 사찰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각 창

✅ 장식 요소
• 문고리, 국화정(菊花钉), 돌쩌귀 등 다양한 철물 장식 사용

4. 창호의 개폐 방식

① 여닫이문 & 미닫이문

✅ 여닫이문
• 외벽에 설치된 덧문 형태
✅ 미닫이문
• 문홈을 따라 옆으로 밀어 여닫는 방식
• 공간 활용도가 높고, 실내 구조 최적화 가능

② 벼락닫이문
• 벽 위에 돌쩌귀를 설치해 밑에서 밀어 여닫는 방식
• 외행랑이나 고창에 주로 사용

③ 특수 창호

✅ 봉창(封窓) →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기용 창
✅ 눈꼽째기창 → 겨울철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한 작은 창

5. 창호의 미적 특징

✅ 살대와 문얼굴은 섬세한 가공 기술이 적용됨

① 살대 디자인

✅ 쌍사살(雙纱) → 두 줄의 볼록한 선이 있는 형태
✅ 오목살(凹纱) → 곡선으로 오목하게 가공된 형태
✅ 꽃살(花纱) → 살대에 꽃 문양을 조각하여 종교적 상징성 강조

한국 전통 건축 (꽃살 창호)



② 장식 철물

✅ 문고리, 돌쩌귀, 배목, 국화정 등 다양한 장식 요소 활용

6. 창호에 담긴 한국인의 철학

✔ 빛과 바람을 조절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구조
✔ 미닫이문과 살창을 통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 섬세한 문살 디자인으로 조형미와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

결론: 창호에 담긴 전통의 가치

한국 전통 창호는 실용성과 미적 완성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독창적인 건축 요소입니다.
창호는 자연과 공간을 연결하며, 한국인의 삶과 미적 감각이 반영된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현대 건축에서도 전통 창호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적극 활용하여 한국 건축의 독창성을 지속적으로 계승해 나가야 합니다.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