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건축

한국의 성곽 – 1편: 성곽의 개념과 종류



한국의 **성곽(城郭)**은 방어뿐만 아니라 행정, 생활, 군사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반영된 건축 구조물이다. 성곽은 단순한 울타리에서 시작하여 고도로 발달한 도성(都城), 읍성(邑城), 산성(山城)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한국의 성곽 역사는 청동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약 2,500년 동안 축조 기술이 발전해 왔으며, 지역과 목적에 따라 토성(土城), 석성(石城), 전축성(塼築城)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이번 1편에서는 성곽의 개념과 종류를 살펴보며, 2편에서는 주요 성곽의 구조와 특징을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1. 성곽의 기원과 발전 🔎

초기 성곽은 나무를 이용한 **목책(木柵)**과 주변에 **해자(垓子, 물길)**를 두르는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후 점차 흙과 돌을 쌓아 방어력을 높였으며, 삼국 시대부터는 본격적인 석성이 등장하였다.

✅ 성곽의 발전 과정
1️⃣ 목책성(나무 울타리) → 토성(흙 성벽) → 석성(돌 성벽) → 전축성(벽돌 성벽)
2️⃣ 초기에는 방어용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행정과 생활 기능이 포함됨
3️⃣ 왕궁을 보호하는 도성에서 시작해, 지방 방어를 위한 읍성, 전략적 거점으로 산성이 축조됨

2. 성곽의 종류

성곽은 거주 주체, 축조 재료, 지형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1) 거주 주체에 따른 분류 🏰

한국 전통 건축 (성곽-거주 주체에 대른 분류)


(2) 축조 재료에 따른 분류 🔨

한국 전통 건축 (성곽-축조 재료에 따른 분류)


💡 Tip: 한국은 주변에 돌이 많아 석성이 주류였지만, 중국은 양질의 진흙이 풍부해 전축성이 많이 발달했다.

(3) 지형에 따른 분류 🏔️

한국 전통 건축 (성곽-지형에 따른 분류)


📍 산성은 한국의 대표적인 성곽 형태로, 지형을 활용해 적은 병력으로도 방어가 가능했다.

3. 주요 성곽의 특징

(1) 도성(都城) – 국가의 중심 성곽 🏛️

도성은 왕이 거주하는 수도 성곽으로, 궁성(宮城), 황성(皇城), 나성(羅城)으로 구성되었다.

✅ 특징
• 북쪽에 궁성과 황성을 배치하고, 남쪽에 시가지를 형성
• 도시 내 도로를 **바둑판 모양(방리제, 坊里制)**으로 정비
• 주요 도로: 주작대로(朱雀大路, 남북 도로), 동서대로(東西大路)

📍 대표 사례
• 한양도성: 조선의 수도, 현재 서울 성곽 일부 보존
• 개경성: 고려의 수도 성곽

(2) 읍성(邑城) – 백성을 보호하는 성곽 🏠

읍성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주민 보호와 군사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했다.

✅ 특징
• 중앙에 **관아(官衙, 행정 건물)**를 배치
• 성문은 동·서·남·북에 두되, 북문은 없는 경우가 많음
• 성벽 주변에 **해자(垓子)**를 두어 방어력 강화

📍 대표 사례
• 수원 화성: 조선 정조 때 축조된 대표적 읍성
• 진주성: 임진왜란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

💡 Tip: 읍성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성곽 체계로, ‘애민사상(愛民思想, 백성을 보호하려는 정신)’을 반영했다.

한국 전통 건축 (수원화성)


(3) 산성(山城) – 방어력을 극대화한 성곽 ⛰️

산성은 험준한 산악 지형을 활용하여 적의 공격을 막는 전략적 요새 역할을 했다.

✅ 특징
• 산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고, 주요 지역에 **문루(門樓)와 치(雉)**를 배치
• 테뫼식(산 정상에 쌓음) vs. 포곡식(계곡을 포함하여 쌓음)
• 평상시에는 사용되지 않다가 전쟁 시 백성과 군대가 피신하는 기능

📍 대표 사례
• 남한산성: 임진왜란 이후 축조, 병자호란 때 왕이 피신한 곳
• 북한산성: 한양 도성을 보조하는 군사적 요충지

💡 Tip: 한국은 산이 많아 산성이 발달했으며, 삼국 시대부터 산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맺음말 🎯

한국의 성곽은 방어 기능뿐만 아니라 행정, 생활, 문화적 요소까지 포함하는 독창적인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한눈에 정리하는 성곽의 특징

한국 전통 건축 (성곽의 특징)


🔜 다음 편에서는 성곽의 구조(성문, 성벽, 방어 시설)를 더욱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 한국 성곽의 역사와 구조, 다음 편에서 계속됩니다! 🎌


버 스터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