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1)
돌담길 따라 걷는 울주 언양읍성, 그곳에 남은 조선시대 평지 석성의 방어 비밀 울산 울주군 언양읍. 이곳에는 조선시대의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언양읍성이 있습니다. 평지에 우뚝 선 돌담길을 따라 걷다 보면, 500년 역사의 이야기가 귓가에 들려오는 듯하죠. 오늘은 언양읍성의 매력과 함께, 주변에서 꼭 들러야 할 명소와 여행 팁까지 한 번에 소개해드릴게요!🏯 언양읍성의 역사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동부리와 서부리에 걸쳐 위치한 **언양읍성(彦陽邑城)**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평지형 석성으로, 현재 사적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세종실록지리지』에는 언양읍성에 대해 “토성이 있으며, 둘레는 157보이고 우물이 2곳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이후 연산군 6년(1500년), ‘홍치 경신년(弘治庚申年)’에 들어 석성으로 개축되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 「언양현 성곽조」에는 “둘레는..
전통과 자연이 만나는 곳! 순천 낙안읍성 & 여행코스 추천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위치한 낙안읍성(사적 제302호)은조선시대 읍성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으로, 실제 주민들이 거주하는 살아있는 민속마을입니다. 1397년 토성으로 시작해 15세기 중엽 석성으로 완성되었으며, 임경업 장군이 1626년 군수로 부임해 성을 중수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성곽과 마을이 함께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는 점이 독특하며, 현재도 100여 세대가 전통 초가집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1. 낙안읍성의 역사낙안읍성은 조선 초기에 축성되었으며,이후 1626년(인조 4년), 충의의 상징인 임경업 장군이 기존 토성을 **석성(石城)**으로 개축하였습니다.특이하게도 이 성벽은 협축식으로 쌓아 올려져 국내 성곽 중에서도 보기 드문 구조를 보입니다.• 성벽 둘레: 약 1,324m• 성벽 높이..
전통의 멋을 정원에 담다 - 초여름 정원에 어울리는 우리꽃 추천 5선 정원에 어떤 꽃을 심을지 고민하고 계신가요?싱그러운 초여름, 정원에 한 송이 우리꽃이 피어나면 공간 전체가 특별한 분위기로 물듭니다. 우리꽃은 한국적인 멋과 함께 키우기 쉬워, 전통 정원은 물론 현대적인 공간에도 잘 어울립니다.전통의 아름다움과 자연의 생명력이 어우러지는 우리꽃으로, 나만의 정원을 더욱 빛내보세요. 1. 🌸 패랭이꽃고운 색감과 단아한 모양새로 사랑받는 패랭이꽃은 5월부터 7월까지 개화하는 다년생 식물입니다.전통 자수와 그림 속에서 자주 등장하며, 조선시대 선비들의 사랑방 주변에도 심겨 있었던 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돌담 주변이나 화단 가장자리에 잘 어울리며, 키우기 쉽고 생명력이 강한 점도 장점입니다.📌 관리팁 • 햇빛을 좋아하므로 빛이 잘 드는 곳에 심으세요. 반그늘보다는 양지에서 ..
고창읍성, 천년을 걷다 - 돌담길 따라 떠나는 고창 역사 여행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자리한 **고창읍성(사적 제145호)**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평지 성곽으로, 조선 전기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축조된 역사적인 성입니다. 흔히 ‘모양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현재까지도 지역민의 자부심과 역사적 유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성곽의 구조와 규모고창읍성은 주변 산 능선을 따라 쌓은 석성으로,• 둘레 약 1,680m,• 성벽 높이 약 5m 내외로완만한 지형을 따라 웅장한 곡선을 그리며 조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구성 요소• 북문인 ‘공북루’,• 동문 ‘등양루’,• **서문 ‘진서루’**를 포함한 3개의 누문,• 3개의 웅성,• **6개의 치성(방어용 돌출시설)**이 있습니다.성 내에는 과거 관아 건물 22동, 4곳의 샘, 2개의 연못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
[충남 서산 가볼만한곳] 조선 병영의 흔적, 서산 해미읍성 탐방기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서산 해미읍성(사적 제116호)**은 조선시대 충청도 병영의 중심지로, 역사적 가치와 아름다운 풍경을 함께 품은 명소입니다. 조선 태조 때 병영이 설치되었고, 1491년(성종 22년)에 성이 부속 건물 건립 및 보수되었습니다. 서산 해미읍성의 구조와 특징• 성곽 길이: 총 1,198m• 성벽 높이: 최고 5m• 여장 수: 약 380개• 구조: 평산성 (남쪽은 평지, 북쪽은 구릉)• 성문: 동문, 서문, 남문이 있으나 원형이 남아있는 것은 남문(진남문)• 복원 구조물: 동헌, 객사, 망루(청호정), 포루서산 해미읍성은 특히 원형이 잘 보존된 조선 시대 읍성으로 손꼽히며, 역사적 현장감이 살아있는 여행지로 추천할 만합니다.성 내부 면적은 약 5만 평으로, 원래 성내에 위치하던 민..
한국이 지키는 세계유산 -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ODA 복원 현장 견학 안내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이제는 단순한 여행지가 아닙니다.대한민국의 문화유산 기술이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국제협력 ODA 복원 프로젝트 현장을 직접 방문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캄보디아를 여행하는 중이라면, 혹은 계획 중이라면 꼭 주목해보세요. 앙코르 유적, 그 너머의 이야기프레아피투 쫌 사원, 코끼리테라스, 앙코르와트 바칸이 유적들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한국과 캄보디아가 협력하여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있는 국제 프로젝트의 현장이기도 합니다.2019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국가유산진흥원이 협력하여 진행 중인 국가유산 ODA사업은, 단순한 복원이 아닌 기술 협력과 문화유산 보존의 본보기로 주목받고 있습니다.2024년에는 앙코르와트 바칸 복원도 새롭게 착수되어 현장은 더욱 활기를 띠고 있습니..
홍성의 제1경, 다채로운 매력의 산책 명소 “홍주읍성”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에 위치한 **홍주읍성(사적 제231호)**은 조선시대 읍성 중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높고, 지금까지 그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유서 깊은 성곽입니다. 조용한 고즈넉함 속에서 역사 산책을 즐기고 싶은 여행자에게 추천드리는 장소입니다. 1. 홍주읍성의 역사홍주읍성의 초축 시기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조선시대에는 토성으로 둘레가 약 1,300척, 여장이 400개에 달했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습니다.• 1822년(순조 22년): 당시 관찰사와 목사, 영장 등이 협의하여 성을 2,350자 규모로 확장하였습니다.• 1870년(고종 7년): 홍주목사 한웅필에 의해 석성으로 개축되며, 동·서·북문의 성문 3곳과 여장 650개, 치성 130개, 곡성 2개소, 우물 4개, 연못 등이 ..
궁중 음식과 전통 예술의 만남, ‘수라간 시식공감’ 체험 정보 총정리 경복궁에서 조선의 밤을 맛보다.서울의 봄밤, 경복궁 소주방에 조용히 등불이 켜집니다.그 빛 아래에서는 왕이 드시던 밥상이 차려지고, 은은한 국악이 흐르죠.오롯이 조선을 느낄 수 있는 단 8일의 밤.2025년 봄, 경복궁에서 열리는 특별한 체험 ‘수라간 시식공감’을 소개합니다.목차’수라간 시식공감‘이란?2025 행사 일정 및 장소체험 프로그램 총정리예매 방법할인 정보유의사항 및 꿀팁자주 묻는 질문Q&A 1. 경복궁에서 즐기는 밤의 궁중 문화 체험, ‘수라간 시식공감’이란?궁중의 맛과 멋, 그대로를 느끼는 시간‘수라간 시식공감’은 조선시대 궁중의 식문화와 예술을 복원해 현대인의 감각으로 다시 풀어낸 문화유산 체험 프로그램입니다.고요한 소주방 안에서 펼쳐지는 궁중 음식 체험, 국악 공연, 전통놀이까지.조선의 ..

버 스터이버